본문 바로가기

기사220

이베이코리아 매각설 매각 검토중인 이베이코리아, 누가 살까 엄지용 | 2021년 1월 24일 이베이코리아 매각설이 업계에 기정사실화 돼 퍼지고 있다. 매각설의 근원은 이베이의 성명서다. 이베이 본사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성명서(eBay Issues Statement on Strategic Review for its Business in Korea)를 통해 “한국 사업과 관련한 다양한 전략적 대안(Alternatives)을 탐색, 검토, 평가하고 있다”며 “회사(이베이)는 주주들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비즈니스의 미래 성장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베이는 ‘이베이코리아’의 매각까지 선택지에 두고 있는 것이 맞다. 이베이코리아 관계자는 이베이코리아 매각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묻는 .. 2023. 4. 6.
돌비 사운드 - CES 2021 [CES 2021] 믿고 사는 돌비 제품, 오디오와 게이밍에도 적용된다 이종철 | 2021년 1월 20일 돌비가 CES 2021 발표 내용으로 서밋을 진행하고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밝혔다. 돌비는 사실 이미 많은 사람이 사용하고 있지만 사용하는지 모르는 비디오·오디오 기술 업체다. 상당수의 국내 극장들이 돌비 애트모스를 도입하고 있으며, 메가박스는 아예 돌비 비전과 애트모스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돌비 시네마도 운영하고 있다. 극장에 가지 못하는 시기에도 돌비 비전과 애트모스는 활발하게 활용된다. 갤럭시와 아이폰 대부분에 돌비 애트모스 음향이 적용되고 있으며, 돌비 비전과 애트모스를 적용한 PC나 랩톱 등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TV에도 돌비 비전과 돌비 애트모스가 지원되는 경우가 많다. 만약 돌비 애트.. 2023. 4. 6.
공정위의 우아한 형제들 인수 결정에 관한 반응 [심재석의 입장] 딜레마에 빠졌던 공정위가 놓은 ‘신의 한 수’ 심재석 | 2020년 12월 29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독일 딜리버리히어로(이하 DH)의 우아한형제들(이하 우형) 인수에 대한 결론을 내렸다. ​ 알려진 대로 공정위는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이하 DHK) 매각을 전제로 합병을 승인했다. 배달의민족과 요기요의 서비스 합병을 막은 것이다. 스타트업 업계는 이와 같은 결정에 불만이 많은 듯 보인다.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이하 코스포)은 공정위 결정에 “공정위가 산업계와 많은 전문가의 반대 의견에도 이런 결정을 내린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코스포는 “공정위 결정은 우리나라 스타트업의 글로벌 가치 평가에 악영향을 끼치고 글로벌 진출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할 것”이라며 “디지털 경제와 스타트업 .. 2023. 4. 6.
배민 요기요 합병 불허 공정위가 밝힌 배민-요기요 합병 불허의 이유 심재석 | 2020년 12월 28일 공정거래위원회가 28일 딜리버리히어로(DH)와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운영사, 이하 우형)의 인수합병을 불허했다. 공정위는 우형을 인수하려면 DH코리아(요기요·배달통 운영사)를 매각하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공정위는 “(합병이) 음식점, 소비자, 라이더(배달원) 등 배달앱 플랫폼이 매개하는 다면시장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전방위적으로 미치는 경쟁제한 우려가 크다고 판단되어 DH에게 DHK 지분(100%) 전부를 매각하는 조치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공정위는 이어 “이를 통해 배민-요기요간 경쟁관계는 유지하여 소비자 후생을 증진하고 혁신경쟁을 촉진하는 동시에 DH와 우형간의 결합은 허용하여 DH의 기술력과 우형의 마케.. 2023. 4. 6.
스포티파이 (Spotify), 한국 진출 스포티파이, 내년 한국 상륙 남혜현 | 2020년 12월 18일 꾸준히 제기됐던 스포티파이의 한국 상륙이 가시화됐다. 스포티파이가 멜론이나 지니 같은 기존 음원 강자가 자리 잡고 있고, 네이버의 바이브나 유트브 뮤직이 성장하고 있는 국내 시장에서 어떤 성과를 낼지 주목된다. 스포티파이가 내년 상반기 내 국내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8일 공식 발표했다. 스포티파이는 6000만곡 이상 트랙과 40억개 이상 플레이리스트를 보유한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로, 세계 3억2000만명 가입자를 확보한 세계 최대 서비스다. 스포티파이가 한국 시장에 진출하는 이유는 시장 규모와 성장성이다. 케이팝(K-pop)의 영향력도 스포티파이의 진출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의 음악 시장은 세계 6위 규모로, 성장 속도 역시 가파르다고 판단.. 2023. 4. 6.
배민, AI 배차 동작 방식 배달의민족의 인공지능 배차는 어떻게 작동하나 엄지용 | 2020년 12월 20일 우아한형제들이 2020년 2월 베타 서비스를 출시하여 열심히 밀고 있는 기능이 있으니 ‘인공지능(AI) 추천 배차’다. 우아한형제들의 물류자회사 우아한청년들이 운영하는 배민라이더스의 전업 배달기사 ‘배민라이더’와 파트타임 배달기사 ‘배민커넥터’ 중 희망자가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인공지능 추천 배차가 등장하기 전 배민라이더스의 배차 방식은 음식점 인근의 복수 라이더에게 주문을 노출하고 먼저 주문을 잡는 라이더가 수행하는 경쟁배차 방식이었다. 라이더들이 주문을 잡기 위해서 치열하게 경쟁해야 했기 때문에 ‘전투콜’이라고도 불리는 방식이다. 반면, 인공지능 배차는 시스템이 알아서 특정 주문을 라이더에게 추천해준다. A.. 2023. 4. 6.
배민 우아한콘서트 - MSA(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쳐) 배민은 서비스 장애를 어떻게 없앴나 심재석 | 2020년 12월 17일 A매치 축구대회나 프로야구 코리안시리즈와 같은 대형 스포츠 이벤트가 있을 때 나는 경기 시작 한참 전에 치킨을 배달시키곤 했었다. 너무 빨리 주문하는 바람에 막상 경기가 시작됐을 때는 치킨을 이미 다 먹어버렸을 때도 많았다. 경기 시간에 맞춰 치킨을 주문하지 않았던 데에는 이유가 있다. 막상 경기 시간이 다가오면 배달앱이 열리지 않을 때가 많았기 때문이다. 대형 스포츠 이벤트가 있을 때면 사람들은 삼삼오오 모여 배달앱으로 음식을 주문했고, 몰려든 트래픽을 견디지 못하고 배달앱이 셧다운 되는 경우가 많았다. 배달의민족이 셧다운 되면 사람들이 요기요로 몰려가서 요기요가 다운됐고, 요기요가 무너진 이후에는 배달통도 접속되지 않을 때가 잦았.. 2023. 4. 6.
친환경 종이 아이스팩 쿠팡과 컬리의 ‘종이 아이스팩’을 만든 업체를 만났습니다 (feat. 바인컴퍼니) 엄지용 | 2020년 12월 2일 숫자를 듣고 깜짝 놀랐다. 2020년 11월 기준 연매출 100억 돌파. 그래, 연매출 100억 정도야 비즈니스판에서 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놀란 이유는 두 번째 이야기 때문이다. 2019년 5월 처음으로 ‘종이 아이스팩’ 제품을 출시했다고. 제품을 판매하기 시작한 것은 2019년 7월부터라고. 2017년 9월 설립한 이 회사는 그 전까지 대기업 대상으로 건자재 납품을 하던 회사였다. 분야가 다른 전혀 새로운 제품으로 불과 1년이 좀 넘어서 100억원 매출을 만들었다. 이건 흔한 일도, 쉬운 일도 아니다. 회사의 이름은 바인컴퍼니. 연매출 100억원의 99%가 ‘종이 아이스팩’ 단일 제품.. 2023. 4. 6.
쏘카, 600억 투자 유치 “위기 극복 능력 인정 받았다” 쏘카 600억원 투자에 ‘유니콘’ 등극 남혜현 | 2020년 10월 16일 지난해 ‘타다’로 고비를 겪었던 쏘카가 6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국내 모빌리티 기업으로는 처음 유니콘에 등극했다. 유니콘은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평가를 받은 스타트업을 일컫는 말이다. 16일 쏘카 측 발표에 따르면 이 회사는 SG PE와 송현인베스트먼트로부터 총 60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투자 배경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이동수요 급감과 규제 강화로 서비스가 중단 되는 등의 경영 위기를 조기에 극복한 역량을 꼽았다. ​ 박재욱 쏘카 대표는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쏘카 카셰어링 사업의 지속성장,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 코로나19에도 성장을 이끈 역량 등을 인정받았다”며 “경.. 2023. 4. 6.
미국, 위챗 퇴출 위챗이 뭐길래 퇴출까지 시키나 이종철 | 2020년 8월 10일 미국에서 행정명령을 통해 이미 알려진 틱톡과 더불어 위챗까지 퇴출되게 됐다. 이에 중국인과 중국계 미국인 대다수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유는 위챗이 중국인의 삶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 위챗의 시작 이미 메신저 QQ를 서비스하고 있던 텐센트에서 2010년 10월, 모바일 전용 메신저로 내놓았다. 2011년 1월 1.0버전이 출시됐고, 같은해 6월 QQ와 친구연동을 시작했다. 한국으로 치면 네이트온이 카카오톡을 출시했다 연동한 셈이었다. 이때 많은 사용자가 유입된다. 8월에는 지리적으로 근처에 있는 사용자를 찾고 추가할 수 있었다. 즉, 모르는 사람도 추가할 수 있다. 10월에는 홍콩, 대만, 오세아니아 대륙, 미국, 일본 5개국으로 확.. 2023.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