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90 11번가-SSG닷컴, '신선식품' 동맹 단독11번가-SSG닷컴, '신선식품' 동맹…'쿠팡 추격대' 합종연횡 가속발행일 : 2025-05-08 15:00 지면 : 2025-05-09 이마트몰, 11번가 입점해 신선식품 판매11번가는 신선식품 확보, SSG닷컴은 고객 확대네이버-컬리 제휴 등 e커머스 합종연횡 기대 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11번가는 이르면 이달 9일 통합 장보기 전문관 '마트플러스'에서 '이마트' 채널을 오픈한다. 지난 7일 선보인 마트플러스는 이마트, 신선밥상, 슈팅배송 등 다양한 마트 상품을 한데 모아 비교하고 구매할 수 있는 공간이다. 특히 이마트 장보기에서는 이마트몰 상품을 원하는 시간에 받을 수 있는 SSG닷컴의 배송 서비스를 제공한다.SSG닷컴 관계자는 “11번가에서 이마트 상품을 판매할 계획”이라면서 “차별화된 주.. 2025. 5. 13.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추진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추진…국내 영화산업 재편 신호탄발행일 : 2025-05-08 15:16 롯데그룹과 중앙그룹이 영화관 및 투자배급 사업을 아우르는 계열사 롯데컬처웍스와 메가박스중앙의 합병을 추진한다.양사는 8일 합병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공동 경영 체제 구축에 나섰다. 국내 2, 3위 멀티플렉스 사업자의 결합으로, 침체된 영화 산업 회복과 콘텐츠 투자 활성화를 동시에 노리는 대형 빅딜이 본격화될 전망이다.현재 롯데그룹의 롯데쇼핑이 롯데컬처웍스의 지분 86.37%를, 중앙그룹의 콘텐트리중앙이 메가박스중앙의 지분 95.98%를 보유하고 있다. 합작 법인은 양사가 공동 경영할 계획이며, 신규 투자유치 및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심사를 최대한 신속하게 진행할 예정이다.롯데컬처웍스는 △롯데시네.. 2025. 5. 13. '스카이프' 서비스 22년만에 종료 원조 인터넷 전화 '스카이프' 서비스 22년만에 종료발행일 : 2025-05-06 18:24 한때 전 세계 수억명이 사용하는 '국경 없는 전화'였던 스카이프(Skype)가 22년 만에 서비스를 마치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마이크로소프트(MS)는 5일(현지시간)을 마지막으로 인터넷 통화 및 메시징 서비스 스카이프의 운영을 중단했다.스카이프로 다른 나라에 사는 가족이나 친구와 늦은 밤 무료 통화를 하거나 원거리 연애를 하던 경험을 떠올린 이용자들은 소셜미디어에 이별의 메시지를 올리며 추억을 되새기는 모습을 보였다.정보기술(IT) 분야 언론인 겸 방송인 윌 구야트는 미국 워싱턴포스트(WP)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스카이프는 내 마음의 지평을 넓혀줬다”고 말했다.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데다 값비싼 요금이.. 2025. 5. 13. SKT, 4133억 규모 카카오 지분 전량 매각. 재원확보 SKT, 4133억 규모 카카오 지분 전량 매각…SKB 인수대금·AI 투자 재원 확보발행일 : 2025-04-25 08:37 SK텔레콤이 4133억원 규모 카카오 지분 전량을 시간외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한다고 25일 공시했다.SK텔레콤이 매각하는 카카오 주식은 총 1081만8510주다. 이를 SK브로드밴드 지분 인수 자금과 미래 성장투자 재원 확보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SK텔레콤은 지난해 11월 태광그룹, 미래에셋그룹 등이 보유한 SK브로드밴드 지분 24.8% 전량을 인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당시 태광그룹과 미래에셋그룹이 보유한 SK브로드밴드 지분은 각각 16.75%와 8.01%였다. SK텔레콤은 다음달까지 이들 지분을 주당 1만1511원으로 평가해 총 1조1500억원에 매수할 계획.. 2025. 4. 28. 가락시장 5대 도매법인, 작년 순익 18% 증가 "과일값 그렇게 오르더니"…가락시장 5대 도매법인, 작년 순익 18% 증가조선비즈 원문 기사전송 2025-04-25 06:01 최종수정 2025-04-25 11:11 총매출 1886억원으로 전년 대비 11% 증가사실상 독과점 구조 40년 이어져전문가 “유통 주체 간 경쟁 촉진해야” 지난해 가락시장 5대 청과(채소·과일) 도매법인의 합산 순이익이 전년 대비 1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상기후로 생산량이 줄어 농산물 가격이 급등해 ‘금(金)사과’ ‘금(金)배’라는 말이 나온 상황에서 도매법인들은 호실적을 기록했다.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서울청과, 중앙청과, 한국청과, 동화청과, 대아청과 등 이른바 가락시장 5대 청과 도매법인의 총매출은 1886억원으로 전년 대비 1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 2025. 4. 25. 쿠팡. 택배업계도 1위 등극 쿠팡, 택배업계 1위 등극…유통 이어 물류도 뒤집었다발행일 : 2025-04-15 14:03 지면 : 2025-04-16 유통업계 1위 쿠팡이 지난해 택배 시장에서도 1위에 올랐다. '로켓배송'으로 대표되는 물류 혁신을 발판으로 유통·물류 시장 판도를 뒤바꿨다는 평가다.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6.3% 오른 3조8349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551억원이다. CLS는 쿠팡 배송 물량을 전담하는 택배 계열사다.이로써 CLS는 설립 6년 만에 CJ대한통운을 추월하고 택배업계 매출 1위에 올랐다. 지난해 CJ대한통운 택배·e커머스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2% 늘어난 3조72.. 2025. 4. 21. 쿠팡. 대형 홈쇼핑 판매 중단 단독쿠팡, 현대·롯데·GS홈쇼핑 판매 중단발행일 : 2025-04-08 14:45 지면 : 2025-04-09 쿠팡 “상품등록 위반 연동 차단”홈쇼핑 “소명 기회 없이 일방적”e커머스-종합몰 채널 갈등 고조 쿠팡이 플랫폼 운영 정책 위반을 이유로 주요 홈쇼핑 판매 연동을 중단한 것으로 확인됐다. e커머스 업체가 종합몰인 홈쇼핑 계정을 차단한 것은 이례적이다. 셀러에 특혜를 줄 수 없다는 쿠팡과 부당하다는 홈쇼핑 입장이 팽팽하게 대치하면서 채널 간 갈등이 고조되는 양상이다.8일 업계에 따르면 쿠팡은 지난 1일 복수의 TV홈쇼핑 계정을 정지하고 판매 중지 조치를 단행했다. 업계 빅4 중 3곳인 현대·롯데·GS가 이번 대상에 포함됐다. 중지 사유는 상품정보 등록 기준 위반이다. 쿠팡 내부 규정 상 지식재산권.. 2025. 4. 11. 배민. 경장사 압박. 수익성 악화 이중고 역대급 실적에도 웃지 못하는 배민…경쟁사 압박·수익성 악화 '이중고'발행일 : 2025-04-06 17:00 지면 : 2025-04-07 배달의민족이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올해는 쿠팡이츠와 경쟁 심화, 수익성 악화에 직면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배달 시장에서 가지고 있던 1위 사업자 지위도 깨질 수 있다.우아한형제들의 '2024년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배민은 지난해 매출 4조3226억원, 영업이익 640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26.6%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8.4% 감소했다. 영업이익률 또한 14.8%로 2023년 20.5%와 비교해 5.7%p 줄었다.배민은 지난해 자체배달과 커머스 확대 등에 힘입어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무료배달 경쟁으로 지출은 크게 증가.. 2025. 4. 11. 로컬에서 HTTPS 사용하기 위한 인증서 발급 및 톰캣 server.xml 설정 테스트 환경 : 윈도우 1. 로컬 인증서 발급 프로그램 다운로드https://github.com/FiloSottile/mkcert/releases 사이트로 이동하여 OS에 맞는 mkcert 를 다운로드 받는다. 2. 폴더를 하나 생성하여,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옮겨 놓는다. 3. 커맨드 창을 실행시키고, 2번에서 생성한 폴더로 이동한다. 4. 커맨드 창에서 mkcert-1.4.4.exe -install 명령을 실행하고, 보안경고 팝업이 표시되면 "예" 버튼을 클릭하여 CA(Certificate Authority) 인증서를 생성한다. 5. CA 인증서에서 PKCS(Public-Key Cryptography Standards) 인증서 생성 커맨드 창에서 mkcert-v1.4.4.exe.. 2025. 3. 21. 배민, 포장주문에도 수수료 부과 [단독] 배민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시름 늘어가는 점주들한겨레 원문 기사전송 2025-03-21 06:05 최종수정 2025-03-21 10:50 “배달 플랫폼이 수수료를 너무 많이 가져가니까, 홍보비를 따로 들여 포장주문 비율을 높여놨거든요. 그랬더니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를 떼간다네요.” 광주에서 11년째 햄버거 가게를 운영하는 점주 조아무개(40)씨는 20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연신 한숨을 쉬었다. 그는 2023년 10월께부터 아침에 출근해 새벽 2시까지 가게 문을 연다. 이전엔 저녁 8시까지 영업해도 가게를 유지할 수 있었지만, 최근 몇 년간 배달앱 시장이 크게 성장하면서 배달 수수료로 나가는 비용이 만만치 않아졌기 때문이다. 지난달 기준 조씨는 배달 수수료로만 540만원(전체 매출의 약 24.. 2025. 3. 21. 이전 1 2 3 4 ··· 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