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220 카카오의 광고 이해 카카오의 캐시카우, 광고 이해하기(Ver. 커머스) 엄지용 | 2021년 7월 29일 최근 몇 년 사이 카카오의 파괴적인 매출, 주가 성장을 만든 1등 공신은 단연 ‘톡비즈’, 카카오톡 기반 광고 사업의 성공을 꼽을 수 있다. 광고주에게 카카오톡 광고는 2021년 1분기 MAU(월간순사용자) 기준 4635만명, 요컨대 대한민국 국민 전체라고 해도 부족함이 없어 보이는 모수에 제품을 알릴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당연히 재화를 판매하는 커머스 기업 또한 카카오톡을 광고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29일 카페24가 주최한 에서는 커머스 기업이 카카오톡 광고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노하우가 공유됐다. 이 행사에서 카카오는 카카오의 광고 솔루션이 제공하는 큰 그림으로 찾고, 맺고, 강화하는 세 가지 .. 2023. 4. 7. 마켓컬리 새벽배송 지역 확대 2022.07.30 마켓컬리는 CJ대한통운과 협력해 충청권으로 진출한 ‘샛별배송’ 서비스를 대구지역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오는 8월 1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하며, 최종 목표는 전국 확대다. 마켓컬리와 CJ대한통운은 지난 4월 ‘샛별배송 전국 확대 물류 협력 MOU’를 체결했으며, 5월부터 대전, 세종, 천안, 아산, 청주 등 충청권 5개 도시를 대상으로 서비스 중이다. 양사는 각자의 물류 인프라를 연계하는 방식으로 서비스 범위를 넓힌다. 마켓컬리의 수도권 물류센터에서 출고되는 신선식품과 뷰티‧주방‧가전 등 비식품 등을 대구에 있는 2곳의 CJ대한통운 물류터미널로 운송한 뒤 세부 분류 과정을 거쳐 고객에게 배송한다. 이를 통해 마켓컬리는 지역별 물류 인프라를 직접 구축하지 않고도 서비스 지역을 확장할 수 .. 2023. 4. 7. 배달앱, 음식점, 소비자 책임 관계 바뀌는 법, 배달앱은 음식점과 연대책임 져야 하나 엄지용 | 2021년 7월 25일 2017년 1월 국민신문고에 들어온 한 사연입니다. 한 고객이 배달앱으로 치킨을 주문한 후 음식이 부실하다는 이유로 사진과 함께 부정적 리뷰를 남겼습니다. 이후 그 고객은 음식점주의 욕설과 협박 문자, 전화에 시달렸습니다. 결국 고객은 불안함에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이에 강력한 시정조치와 처벌이 필요하다는 게 신문고를 작성한 이의 주장이었습니다. 2021년 5월의 다른 이야기를 해보죠. 한 고객이 배달앱에서 주문한 새우튀김 3조각 중에 1조각이 색깔이 이상하다며 환불을 요청했습니다. 음식점은 1조각에 대한 금액을 당일 환불해줬지만, 고객은 다음날 배달앱을 통해 별점 1점과 함께 부정적인 리뷰를 남겼습니다. 음식점주는 .. 2023. 4. 7. 마켓 컬리, 2254억 투자 유치 컬리, 2254억원 투자 유치… 2조5000억 기업가치 인정 엄지용 | 2021년 7월 9일 장보기 버티컬 커머스 컬리가 2254억원 규모의 시리즈F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기존 투자사인 에스펙스매니지먼트, DST글로벌, 세콰이어캐피탈차이나, 힐아우스캐피탈 등이 참여했다. 이 밖에 밀레니엄매니지먼트와 CJ대한통운이 이번 시리즈F 라운드에 신규 투자자로 합류했다. 시리즈F 투자가 마무리 되면서 컬리는 기업가치 2조5000억원을 인정받았다. 지난해 시리즈E 투자 이후 약 2.6배 오른 수치다. 컬리는 2조5000억원의 기업 가치를 받게 된 배경으로 ‘성장성’을 꼽았다. 컬리의 매출 성장세, 신규고객 유입, 재구매율 등 다양한 수치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는 회사측 .. 2023. 4. 7. 배달대행 거점. MFC(Micro Fulfillment Cente)로 변신 배달대행 브랜드들의 지역별 거점이 MFC(Micro Fulfillment Center, 마이크로 풀필먼트 센터)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MFC는 기존 물류창고 및 풀필먼트 센터가 경기도 외곽에 위치한 것과 달리, 도심 가운데 자리 잡고서 고객 주문에 따라 당일 배송 또는 2~3시간 내 배송을 완료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때문에 재고 보관 및 관리가 비교적 쉬운, 작은 부피 위주의 물량을 주로 취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배달대행 브랜드들은 도심 곳곳에 포진해있는 사무실, 정비 공간 등을 MFC로 전환함과 동시에 기존 보유하고 있는 이륜차 기반 배달 역량을 ‘퀵커머스 라스트마일 배송’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륜차 특유의 기동성을 살려 기존 택배 기반 이커머스보다 빠른 배송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실제.. 2023. 4. 7. 이마트, 이베이코리아 인수 이베이코리아 새 주인, 이마트 된다 엄지용 | 2021년 6월 24일 이마트가 이베이코리아의 새 주인이 됐다. 이마트는 24일 공시를 통해 “당사는 이베이코리아 유한책임회사 지분 매매에 관한 주요 계약조건에 합의했고, 이에 따라 한국은행에 제출한 외국환거래 관련 신고가 수리되는 경우 거래계약을 체결하기로 하는 내용의 협약(LETTER AGREEMENT)을 2021년 6월 24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서에 따르면 이마트는 이번 인수를 위해 설립한 회사 ㈜에메랄드에스피브이를 통해 이베이코리아 지분 80.01%를 3조4404억원에 인수한다. 앞서 이마트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이베이코리아 인수전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네이버는 이베이코리아 인수 절차에 최종 불참을 선언했다. 네이버는 22일 공.. 2023. 4. 7. 차세대 배터리 개발 방향 K배터리 3사가 말하는 “차세대 배터리의 방향” 배유미 | 2021년 6월 10일 K배터리 3사가 배터리 업계의 딜레마 해결에 팔을 걷고 나선다.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 콘퍼런스 2021’에 기조연설자로 참가해 각 3사에서 주력하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에 대해 소개했다. 3사가 지적한 현 배터리 기술의 한계는 공통적이었으나, 접근 방식은 각 사마다 달랐다. 배터리 업계는 딜레마에 빠져 있다. 자율주행차에 탑재되는 배터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높은 성능, 빠른 충전속도, 저렴한 가격, 안정성, 네 가지 역량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 네 가지를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사용되는 배터리 양전극에는 니켈, 코발트, 그리고 알루.. 2023. 4. 7. 쿠팡이츠 vs 배민원 전면전 전면전 쿠팡이츠 vs 배민1, 하지만 ‘우면산 라이더스’가 출동하면 어떨까? 신승윤 | 2021년 5월 12일 단건 배달이 대세입니다. 진짜로요. 닐슨코리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올해 2월 서울·경기지역의 3대 배달 앱 순방문자 비율은 쿠팡이츠가 20%, 배달의민족이 53%, 요기요가 27%입니다. ‘여전히 배민이 1등이구만’이라 하실 수도 있으나, 작년 1월만 해도 쿠팡이츠는 단 2%만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배민은 작년 59%에서 6% 떨어진 수치이고요. 요기요는 작년 39%에서 무려 11%나 하락했습니다. 이 같은 지각변화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이 바로 쿠팡이츠의 단건 배달(치타 배달 서비스)입니다. 배달업계에 종사하는 많은 이들이 입을 모아 쿠팡이 일냈다고 말합니다. 위 작년 2월 수치보다도 훨.. 2023. 4. 7. 국내 구매 대행으로 해외 마켓플레이스 판매. 10억 매출 쿠팡 상품 쇼피에 팔아서 10억 버는 사람을 만났다 엄지용 | 2021년 4월 22일 “쿠팡, 지마켓에서 상품을 구매해서 쇼피, 라자다, 큐텐 등 동남아시아 마켓플레이스에 상품을 팔아서 연매출 10억원을 만드는 분이 있어요. 소개해드릴까요?” 2021년 한 이커머스 업계 지인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다. 지인이 전한 비즈니스 모델은 나에게 익숙하다. 2019년 나는 또 다른 이커머스 업계 지인으로부터 ‘쿠팡 상품을 사서 일본 아마존에 판매하면 쏠쏠한 이익이 남는다’는 이야기를 전해 들었고, 실제 시도도 해봤다. 결과만 말하자면 나는 이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데 실패했다. 모종의 이유로 아마존 계정 이용이 정지됐기 때문인데, 사실 ‘시도’도 못했다고 보는 게 맞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당시 썼던 이 글(링크 .. 2023. 4. 7. 킥고잉 전동킥보드 '흑자' 킥고잉이 공유 전동킥보드로 ‘흑자’를 만들 수 있었던 이유 엄지용 | 2021년 3월 6일 국내 최초의 공유 전동킥보드 서비스 ‘킥고잉’이 꼽은 지난해 가장 큰 성과는 ‘흑자’다. 킥고잉 운영사 올룰로에 따르면 지난해 9월을 기점으로 전동킥보드 비수기인 겨울이 오기까지 3~4개월 연속 킥고잉 서비스는 흑자를 달성했다. 2018년 9월 서비스를 출시한 이후 2년만에 증명해낸 쾌거다. 킥고잉이 흑자를 볼 수 있었던 배경에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운영 최적화’가 있었다는 회사측 설명이다. 소비자 입장에서 킥고잉 이용 프로세스는 단순하다. 눈에 보이는 기기를 스마트폰 QR코드로 스캔해서 목적지까지 이동, 반납하면 자동으로 결제가 끝난다. 하지만 이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뒷단에서의 움직임은 이보다 치열하다.. 2023. 4. 7.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