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77

[ERWin] DB 접속시 오류 발생시 처리 방법 다음 과 같은 오류가 발생 할 경우 Unable to locate client connectivity software. Check with your database administrator to install the appropriate client software. ntwdblib.dll 파일을 윈도우 system32 폴더에 복사해 넣으면 접속할 수 있습니다. 파일 첨부합니다. 2023. 3. 6.
[ERWIN] 4.X 버전에서 SQL Server 2005 사용하기 아래 사이트에 접속하여 ftp://ftp.ca.com/pub/erwin/ServicePacks AFEDM414sp4-b4415.exe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 하면 SQL Server 2005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용량은 47,001,848 byte 로 첨부하지 못하였네요. 2023. 3. 6.
[MSSQL] 테이블 명세서 쿼리(2000, 2005 가능) --//SQL Database documentation script --//Description: T-SQL script to generate the database document for SQL server 2000/2005 -- 출처: SQLER 허진수님의 게시물입니다 -- 사용법 -- 1. 아래 문서 전체를 테이블 명세서를 얻고자 하는 DB의 쿼리창에 붙여 넣고, 실행하면 됩니다. -- 2. 실행하면 결과창에 HTML 양식의 텍스트가 생깁니다. -- 3. 모두 선택하여 편집기에 붙여 넣고 확장자를 html 로 저장한 다음 -- 익스플로러에 끌어다 놓으면 테이블 명세서가 보입니다. Declare @i Int, @maxi Int Declare @j Int, @maxj Int Declare @sr int.. 2023. 3. 6.
[오라클] COLUMN->ROW, ROW->COLUMN. 데이터 행과 열을 변환 /*--------------------------------------------------- * ROW => COLUMN의 변환 * COLUMN => ROW의 변환 ----------------------------------------------------*/ --------------- DEPTNO EMPNO --------------- 10 7782 10 7839 10 7934 20 7369 20 7566 20 7788 30 7499 30 7521 30 7654 ------------------------------ DEPTNO EMP1 EMP2 EMP3 ------------------------------ 10 7782 7839 7934 20 7369 7566 7788 30 7499 7521.. 2023. 3. 5.
[오라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 접속할때 ORA-12154 오류 발생하는 경우 처리방안 오라클 10g설치 후, 클라이언트(sql plus 등)에서 서버로 접속하면, 다음 오류가 발생하고 접속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ORA-12154: TNS:could not resolve the connect identifier specified TNS위치 설정을 제대로 해 주었고, 값이 정상일 경우에도 이런 메시지가 나와서 고생을 많이 했는데, 오라클 포럼에서 답을 찾을 수 있었다. 환경변수를 수동적으로 등록하면 된다. 내컴퓨터->속성->시스템등록정보->고급->환경변수->시스템 변수 에서 다음 변수가 있는지 확인한다. 없다면 새로 만들어서 추가한다. 변수이름 : ORACLE_HOME 변수 값 : C:\oracle\product\10.2.0\client_1 (오라클 설치경로) 재부팅이 필요할 수도 있다... 2023. 3. 5.
[MSSQL] Linked 서버를 사용하여 StoredProcedure 생성할때 발생하는 오류 7405 처리 MS SQL 엔터프라이즈 매니저에서 LINKED 서버를 이용하여 저장프로시져를 생성할때 오류 7405: 유형이 다른 쿼리를 사용하려면 연결에 대해 ANSI_NULLS 및 ANSI_WARNINGS 옵션을 설정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일관된 방식으로 쿼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을 설정한 다음 쿼리를 다시 실행하십시오. 위와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다음과 같이 조치를 취하면 처리된다. 저장프로시저를 만드는 구문 위에 다음 파란색 구문을 추가한다. 예) SET ANSI_NULLS ON SET ANSI_WARNINGS ON Go CREATE PROCEDURE 프로시져명 AS ....... . . GO 구문검사 후 , 확인 클릭하면 처리 완료...!!! 2023. 3. 5.
[MSSQL] Server 최적화 튜닝 1. 가능한 테이블의 컬럼수는 작게 설계하는 것이 좋다. 테이블의 컬럼수가 적은 것은 당연히 I/O의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 당연히 쿼리 연결시 필요한 컬럼만을 가져 와야 하며 작은 컬럼수의 설계는 백업이나 리스토어 등의 업무에 성능 개선을 준다. 2. 컬럼 타입을 text/ntext를 써야 하는 경우라면 varchar/nvarchar 컬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SQL Server는 text/ntext 컬럼의 경우 다른 데이터들과 분할에서 저장하게 되며 이 저장된 값이 필요 할때는 다른 형식의 값들보다 오래걸리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이다. 3. 만약 유니코드값이 입력되지 않는 컬럼 타입에 nchar/nvarchar를 써야 하는 경우라면 char/varchar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당연.. 2023. 3. 5.
[MSSQL] 2005에서 플랫파일 원본으로 데이터 가져오기 작업중 0xc02020a1 오류가 나는 경우 The flat file defaults initially all columns to characters with length of 50. You can change this by going to the "Advanced" page of the Flat File connection page and change the length manually, or you can click on "Suggest Types..." to get suggested column metadata attributes based on sampling a certain number of rows from the file. 위 내용은 데이터 가져오기/내보니기 작업 중 플랫 파일 원본 파일로 저장 된 데이터를 가져오기 하다가 0x020.. 2023. 3. 5.
[윈도우]성능 분석기를 통한 프로세스 메모리 사용량 추적 개발한 프로세스에서 메모리 누수(Leak)이 발생된다 예상되면, 메모리 사용량 추적을 통해 메모리 누수 여부를 검증해야 합니다. 성능 모니터를 이용하면 프로세스의 메모리 사용량을 추적 및 로그 기록할 수 있습니다. 만약, 메모리 누수가 확인된다면, 테스트용 실행파일 등으로, 메모리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코드의 범위를 줄여가며 반복적으로 테스트 해야 합니다. 만약, 특정 기능 수행 시 메모리 누수가 의심된다면 특정 기능을 반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테스트 프로그램을 만들어 점검할 코드의 범위를 줄여가며 추적하기 바랍니다. 델파이로 개발된 프로젝트라면 메모리 누수 보고 기능을 켜서 메모리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Out of memory 오류 해소 방안 : http://blog.hjf.pe.kr/.. 2023. 3. 5.
[윈도우] XNOTE A510 멀티 부스트 부팅 순서 설정하기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 확인 한 결과, XNOTE는 멀티부스트를 사용하기 위해 바이오스에서 자신이 원하는 부팅 순서를 정해 주어도, 물리적으로 나중에 설치한 디스크(HDD 또는 SSD)를 부팅 1순위로 인식하는 것 같으로 확인되었음. ​ 따라서, 멀티 부스트를 사용하여 디스크(HDD 또는 SSD)를 추가한 겨우, 부팅을 하고 싶은 하드디스크를 제일 마지막에 노트북에 설치하면 됨. ​ 예) 신규 SSD를 구매하여 OS를 설치하고 메인으로 사용하고, 기존 HDD 를 멀티부스트를 사용하여 추가 할 경우 ​ 1. 노트북 파워 오프 2. 신규 SSD 는 노트북에서 설치제거하고, 기존 HDD가 장착된 멀티부스트를 설치 3. 노트북 파워 온. (부팅 데이터가 없으면, 오류 화면이 표시될 것임. 노트북 초기화면에서 오류.. 2023.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