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와 쉘
쉘(Shell) :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며 운영체제의 관리하에 있는 파일, 프린팅, 하드웨어 장치, 애플리케이션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운영 체제에서 제공하는 각종 명령들을 쉘 인터페이스에서 실행하면 운영체제가 그 명령에 해당하는 일을 수행
쉘 스크립트 : 인터프리터로서 리눅스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명령어들의 집합을 묶어서 프로그램화한 것
du -h * | sort -nr > $HOME/script.txt
du : 용량을 알아보기 위한 명령어
| : 결과값을 다음 명령으로 연결해 다음 명령의 아규먼트로 사용
sort : 알파벳 또는 숫자 기준으로 정렬. -n : 숫자 값을 기준으로 정렬, -r : 반대의 순서(내림차순)
> : 리다이렉션은 앞의 명령 결과를 다음에 나오는 파일명으로 저장
리눅스 bash 쉘에서 $ 표시는 일반 유저의 쉘을 의미하고 # 표시는 root 유저의 쉘을 의미함
쉘 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스크립트의 최상단에 본 쉘인 경우 #!/bin/sh, 배시 쉘인 경우 #!/bin/bash, 파이썬일 경우 #!/bin/python 와 같이 실행할 언어를 지정해야 한다
which 명령어는 환경 변수에 지정된 PATH 변수의 경로 내에서 실행 파일의 이름을 검색하고자 할 때 사용
whereis는 명령의 실행 파일, 소스, 맨 페이지의 위치를 검색하는 명령
리눅스 환경
리눅스는 핀란드 헬싱키 대학의 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발즈의 취미 생활로 탄생
리눅스의 특징
Free
OS 구입에 따른 비용을 지출하지 않아도 됨
Unix Like
유닉스처럼 리눅스는 C 언어로 작성됨
유닉스처럼 리눅스는 멀티유저/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OS
유닉스처럼 리눅스는 프로그래밍 개발 환경에 매우 적합
유닉스처럼 다양한 하드웨어 플랫폼을 지원
Intel x86 processor
Macintosh PC
Cyrix processor
AMD processor
Sun Microsystems Sparc processor
Alpha Processor(Compaq)
Open Source
그 외에 안정성, 강건성, 보안성, 높은 성능 등의 특징도 존재
리눅스 파일 시스템
리눅스에서 최상위(root) 디렉터리는 /로 표시하고 그 하위에 /root, /usr, /etc, /boot, /tmp 등으로 구분하며, 각 디렉터리들은 파티션으로 구성될 수 있음. 하나의 파티션이 하나의 디렉터리가 될 수 있음
파티션을 디렉터리에 매칭 시키기 위해서 mount라는 개념을 사용
/dev 디렉터리는 여러 가지 디바이스 관련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
/dev/null 파일은 어떤 문자를 이 장치로 보내면 문자를 모두 지워버림
/dev/zero 파일은 새로운 파일을 생성할 때 0으로 채우기 위해 사용
/dev/tty :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터미널 윈도우 또는 콘솔
/dev/dsp : 사운드 카드에 AU 사운드 파일을 실행하는 인터페이스
/dev/fd0 : 첫 플로피 드라이버
/dev/hda1 : IDE 하드 디스크의 첫 파티션. hda2처럼 하나의 하드 디스크에 여러 개의 파티션을 구성할 수 있음
/dev/sda1 : SCSI, S_ATA 하드 디스크의 첫 파티션
/dev/hda1 파티션을 /backup 디렉터리에 마운트 하려면 아래와 같이 입력
sudo mount -t ext3 /dev/hda1 /backup
쉘 스크립트 준비운동
쉘 : 키보드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OS가 그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CLI, GUI를 가지고 있음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쉘의 종류를 확인하려면 /etc/shells 파일을 출력해보면 된다 : cat /etc/shells
Bash : 리눅스에 기본 탑재된 일반적인 쉘로 sh 본 쉘과 호환되기 때문에 대부분 sh와 bash에서 모두 작동
echo : 뒤이어 입력되는 문자열을 모니터로 출력 (print)
리눅스의 모든 환경 변수는 대문자로 구성되어 있음
env : 환경 변수 출력
쉘 스크립트 구성요소
if ~ else와 fore, while 등의 쉘 루프 명령어
grep, awk, cut 등의 텍스트 처리 유틸
w, who, free 등의 바이너리 명령어
쉘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이유
쉘 스크립트는 유저 또는 파일로부터 입력을 받아 모니터에 데이터를 출력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하고자 할 때 자동화할 수 있다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음
자신만의 피워 툴, 파워 유틸리티를 만들 수 있음
관리자 작업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음
서비스 환경 설정과 유저 추가와 같은 작업에서 에러를 줄일 수 있음
실제적인 쉘 스크립트 사용 예는 다음과 같음
리눅스 시스템 모니터링
데이터 백업과 스냅샷 생성
Oracle, MySQL 데이터베이스 백업을 위한 덤프 작업
시스템 경고 메시지를 이메일로 받기
시스템 리소스를 잡아먹는 프로세스 찾아내기
여유 메모리와 사용량 찾아내기
로그인한 모든 유저와 현재 무엇을 하고 있는지 찾아내기
네트워크 서비스가 정상적인지 아닌지 알아보기
모든 실패한 로그인 정보 찾아내기
보안 정책에 따른 유저 관리
BIND의 서버 환경에서 zone 엔트리 추가
쉘 스크립트를 사용하면 안 될 때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야 할 경우)
리소스에 민감한 작업들, 특히 속도가 중요한 요소일 때(정렬, 해시 등)
강력한 산술 연산 작업들, 특히 임의의 정밀도 연산이나 복소수를 써야 할 때(C++)
플랫폼 간 이식성이 필요할 때(C)
구조적 프로그래밍이 필요한 복잡한 복잡한 애플리케이션
업무에 아주 중요하거나 회사의 미래가 걸렸단 확신이 드는 애플리케이션
보안상 중요해서 시스템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외부의 침입이나 크래킹, 파괴 등을 막아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서로 의존적인 관계에 있는 여러 컴포넌트로 이루어진 프로젝트
과도한 파일 연산이 필요할 때(Bash 쉘은 제한적인 직렬적 파일 접근을 하고, 특히 불편하고 불충분한 줄 단위 접근만 가능)
다차원 배열이 필요할 때
링크드 리스트나 트리 같은 데이터 구조가 필요할 때
그래픽이나 GUI를 만들고 변경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할 때
시스템 하드웨어에 직접 접근해야 할 때
포트나 소켓 IO가 필요할 때
예전에 쓰던 코드를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나 인터페이스를 써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독점적이고 소스 공개를 안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야 할 때
man : 도움말 매뉴얼을 출력하는 명령어
한글로 보고 싶다면 LANG=ko_KR.UTF8을 실행
리눅스 기본 명령어들의 형식
리눅스에서 환경 변수를 제외한 거의 모든 명령어들은 소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윈도우와 달리 대소문자를 구분
date 입력하면 날짜가 나오는데, date '+%H:%M'을 입력하면 해당 포맷으로 변경. -u 옵션을 주면 UTC 시간이 출력
다중 명령어 사용
하나의 라인에서 여러 개의 명령을 실행하려면 하나의 명령 다음에 ;를 추가해 명령이 끝났음을 지정해주면 됨.
단, 첫 명령이 실패해도 두 번째 명령은 반드시 실행됨
&&를 명령어 사이에 붙이면 첫 명령이 정상적으로 종료했을 경우에만 두 번째 명령을 수행함
||를 붙이면 각각의 모든 명령을 수행
명령 히스토리
history에 최근 실행한 명령들이 저장되어 있음
최근 실행한 명령을 다시 실행하기 위해 !을 사용. 다음에 매칭되는 문자를 최근 명령에서 찾아서 실행
-1같이 마이너스 숫자를 지정할 경우 최근 명령부터 숫자만큼의 명령을 실행
!! 을 사용하면 가장 최근 명령어를 다시 실행
리눅스 디렉터리 여행
pwd : 현재 디렉터리 위치 보기
ls : 파일과 디렉터리 목록 보기
ls -l로 출력된 컬럼의 의미는 아래와 같음
[파일/디렉터리 퍼미션][하드 링크 파일 수][소유자][그룹][파일 크기][수정 시간][파일명]
cd : 현재 쉘의 디렉터리 변경, 이동
less, more, cat : 텍스트 파일 보기
less는 q를 누르면 원래 셀 위치의 다음 라인으로 돌아오고, more는 q를 누르면 원래 쉘 위치로 돌아오지 않음, cat은 쉘 프롬프트를 리턴
file : 파일 타입 보기
tree : 디렉터리의 트리 구조 print
-d : 디렉터리만 / -a : 모든 것 / -f : 파일만 / -L : 디렉터리 깊이 지정
tree -L 1 / : 최상위 root(/)부터 깊이가 1인 디렉터리와 파일 출력
파일/디렉터리 퍼미션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것으로 - 문자는 일반 파일, d 문자는 디렉터리, c 문자는 캐릭터 디바이스, b는 블록 디바이스, l 은 심볼릭 링크 파일, s는 소켓 파일을 의미. 그다음 3개의 문자 단위는 파일 소유자의 read, write, execution, 그룹의 read, write, execution, 모든 사용자의 read, write, execution을 표시
하드 링크 파일 수
하드 링크 : 리눅스상에서 동일한 파일시스템 내의 파티션에서 동일한 inode 정보를 가지는 파일. 하드 링크가 복사는 아님!!!
ln 원본 파일 하드 링크 파일명 명령을 사용해 하나의 링크 파일을 생성하면 원본 파일과 하드 링크 파일은 동일한 inode 정보를 가지게 되고, 어느 하나의 파일이 변경되면 두 파일 모두 동일한 내용과 크기로 변경
심볼릭 링크 : ln -s 원본 파일 심벌릭 링크 파일명을 사용하며 원본 파일의 이름만 링크. 원본 파일을 삭제하면 심볼릭 링크 파일은 가리킬 파일명이 삭제되었기 때문에 의미 없는 파일이 됨
리눅스 기본 디렉터리 구성
/ : 루트 디렉터리
/boot : 리눅스 커널과 부트로더가 위치하는 디렉터리
/etc :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이 위치한 디렉터리
/etc/passwd : 유저의 각종 정보 저장
/etc/shadow : 유저 패스워드를 암호화하여 저장
/etc/fstab : 시스템이 부팅될 때 참고하는 마운트 할 디바이스 테이블을 저장
/etc/hosts : 네트워크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
/etc/rc.d/init.d 또는 /etc/init.d : 부팅 시 시작할 여러 가지 시스템 서비스 스크립트
/etc/resolv.conf : 시스템에서 외부로 접속할 때 참고할 네임서버
/etc/sysconfig/i18n : 부팅 시 언어셋 변수와 폰트 변수를 설정
/etc/sysconfig/iptables : 리눅스 방화벽 iptables 환경 설정
/etc/sysconfig/network : 부팅 시 네트워크를 지원할 것인지 와 호스트명을 설정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 부팅 시 사용할 첫 이더넷 카드의 정보 저장
/bin, /usr/bin : 실행 프로그램들. /bin엔 기본적인 실행 프로그램, /usr/bin엔 사용자들이 사용할 실행 프로그램
/sbin, /usr/sbin : 시스템 관리자를 위한 프로그램. 대부분 root를 위한 프로그램
/usr :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파일이 위치
/usr/local : 소프트웨어 설치 시 또는 로컬 머신에서 사용할 파일들이 위치. 소스파일을 기본 옵션으로 컴파일하면 /usr/local 디렉터리에 기본 설치가 되며 이때 실행 파일은 /usr/local/bin에 위치
/var : 운영 중인 시스템의 변화를 체크할 수 있는 로그 파일들이 위치
/var/log : 로그 파일이 위치하는 디렉터리
/var/spool : 메일 메시지와 프린트 작업과 같이 프로세스를 위한 큐를 잡아놓기 위해 사용되는 디렉터리
/lib :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
/home : 유저별 홈 디렉터리가 존재하는 개인 홈 디렉터리. useradd(adduser) 명령을 사용해 유저를 생성하면 "/home/유저아이디 형식으로 유저 홈 디렉터리가 생성. 이때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파일들은 /etc/skel 디렉터리 아래의 파일들임
/tmp : 임시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
/dev :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디바이스 장치 파일들
/proc : 이 디렉터리는 파일을 포함하지 않음. 현재 시스템 CPU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proc/cpuinfo 파일을 출력
현재 프로세스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
ps -ef를 입력하고 나오는 pid 이름으로 되어있는 폴더를 들어가 보면 다양한 정보들이 나와있음
해당 폴더에서 cat status를 입력하면 정보들이 나오는데 주로 봐야 하는 것은 VmRSS, VmSwap 등이 있음. 스왑이 되면 어떻게 되는지 문서를 볼 것
/media, /mnt : 마운트 포인트를 위해 사용되는 디렉터리
마운트 : 디바이스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프로세스와 연결하는 것
입출력 리다이렉션과 파이프
표준 출력
표준 출력 : 결과를 모니터에 출력. 파일 디스크립터 숫자 값으로 1로 표기
> 문자를 사용해 표준 출력을 파일로 리다이렉션 해서 저장할 수 있음
ls > ls.txt
>> : 파일에 추가(append) 할 경우 사용
cat test1.txt >> ls.txt
만약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모두 삭제하고 싶다면 /dev/null로 읽어서 파일로 리다이렉션
cat /dev/null > lsls.txt
표준 입력 - 키보드 : 파일 디스크립터 숫자로 0
표준 출력 - 모니터 : 파일 디스크립터 숫자로 1
표준 에러 - 모니터 : 파일 디스크립터 숫자로 2
2>&1 : 표준 출력이 전달되는 곳으로 표준 에러를 전달하는데, 마지막에 &를 사용해 현재 명령을 백그라운드로 실행
표준 입력
표준 입력 : 키보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 파일 디스크립터 숫자 값으로 0
키보드를 대신해 파일로부터 입력을 받는 경우 < 문자를 사용
sort < ls.txt
sort < ls.txt > sorted_lx.txt : ls.txt 파일의 정렬 결과를 sorted_ls.txt 파일로 저장
파이프
| 문자를 사용해 두 명령어를 이어줌. 앞에서 실행한 명령의 결과값을 뒤에 적은 명령어의 입력으로 사용
즉, 파이프로 연결된 하나의 표준 출력을 다른 명령의 표준 입력으로 사용
ls -lt | head
find . -type f -print | wc -l : 현재 디렉터리에서 있느 파일을 출력해 출력 라운의 수를 카운트한 다음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 파이프 예제
필터
파이프에는 여러 필터를 사용할 수 있는데, 필터는 표준 입력을 받아서 이 필터로 연산을 한 다음, 그 결과를 표준 출력으로 보냄
sort, uniq, grep, fmt, pr, head, tail, tr, sed, awk 등
퍼미션
리눅스와 같은 멀티태스킹, 멀티유저를 지원하는 UNIX 시스템에서는 파일 및 디렉터리에 대해 퍼미션이라는 접근 권한을 사용
chmod : 파일, 디렉터리에 대한 접근 권한 변경
read, write, execute 권한 지칭
rwx 3자리 문자는 2진수로 표시해 2^n으로 인식
rwx rwx rwx = 111 111 111 = 777
rw- rw- rw- = 110 110 110 = 666
rwx --- --- = 111 000 000 = 700
리눅스에서 touch 또는 vi을 사용해 파일을 생성하면 기본 퍼미션이 644(rw-r–r–)로 설정됨. 기본 퍼미션은 umsk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 설정은 /etc/bashrc에 설정되어 있음
su : 일시적으로 수퍼유저 또는 다른 유저로 전환
chown : 파일, 디렉터리의 소유자를 변경(change file owner and group)
chown 명령은 슈퍼 유저만 사용 가능
chown multi.multi perm.txt
chown root:root perm.txt
chgrp : 파일, 디렉터리의 그룹 소유자 변경
chgrp multi perm.txt
lsattr, chattr : 파일들에 대한 특정한 속성을 부여할 수 있음
lsattr : 파일들의 속성을 출력
chattr : 파일들의 속성을 변경. chattr +i [파일명] 제거의 경우엔 -를 사용
i : i 속성은 슈퍼유저라도 변경, 삭제 등의 어떤 조작도 불가능 (immutable)
a : a 속성은 내용 추가는 가능하지만 슈퍼 유저라도 파일 삭제는 불가능 (append only)
잡 컨트롤
리눅스 멀티태스킹 :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
리눅스 커널은 동시에 실행되는 각 프로세서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세스 통제 및 관리할 수 있음
ps : 시스템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 목록 보기
kill : 프로세스에게 kill 시그널 보내기
시그널 : 비동기식 이벤트 처리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SIGHUP : hangup, 로그아웃 또는 접속을 종료할 때 발생하는 시그널로 특정 프로세스가 이용하는 설정 파일을 변경시키고 변화된 내용을 곧바로 적용하고자 할 때 사용
SIGINT : interrupt, 현재 작동 중인 프로세스의 동작을 멈출 때 사용. <ctrl+c></ctrl+c>
SIGQUIT :quit, SIGINT와 같이 사용자가 터미널에서 종료키를 누를 때 커널에 의해 보내짐. 비정상적으로 종료하게 되므로 코어 파일을 생성하고 종료
SIGKILL : kill, 해당 프로세스의 실행을 강제로 중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그널
SIGSEGV : segmentation violation, 메모리 접근이 잘못되었을 때, 즉 프로세스가 포인터를 잘못 사용하여 정해진 영역 이외의 메모리 영역을 침범했을 때 발생
SIGTERM : terminate, 정상적인 종료 프로세스에 정의되어 있는 정상적인 종료 방법에 의해 프로세스를 종료
파이썬에서도 signal 신호를 받을 수 있음. 특정 신호가 발생하면 ~~을 수행해! 라고 설정 가능.
kill -l : kill 명령으로 OS에게 보낼 수 있는 시그널
kill %[번호] : jobs에 나타난 프로세스 제거
kill [PID 번호] : ps 명령으로 출력된 프로세스 제거
jobs : 현재 쉘에서 자신의 프로세스 목록 보기
bg :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로 보내기
fg : 프로세스를 포그라운드로 가져오기
시스템 관리자 명령어 정리
유저와 그룹
user : 현재 로그인하고 있는 유저들을 출력. who -q와 동일
groups : 현재 쉘에 접속해 있는 유저가 속해 있는 그룹을 출력. GROUPS 환경 변수를 출력, 그룹 이름이 아닌 그룹 번호만 가지고 있음
chown, chgrp : 소유자, 소유자 그룹 변경
useradd, userdel : 유저를 추가,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
adduser : useraddd에 심볼릭 링크되어 있음
유저를 추가한 다음, passwd [유저 아이디]를 통해 패스워드 지정
유저를 삭제할 때, 유저 디렉터리까지 삭제하고 싶으면 -r 명령을 사용
usermod, groupmod : 그룹 이름이나 아이디 변경 시 사용
id : 유저의 아이디, 그룹 아이디, 소속된 그룹명 등을 출력
lid : 유저가 소속되어 있는 그룹 출력
who :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유저 목록 출력
w` : 모든 유저에 대한 정보 출력. who 명령의 확장
logname : 현재 유저의 로그인명
su : 한 유저가 다른 유저로 전환. 유저가 주어지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슈퍼 유저(root)로 설정
sudo : 슈퍼 유저(root) 또는 다른 유저로 명령을 실행
/etc/sudoers 파일에 정의되어 있음
passwd : 유저의 패스워드를 생성/변경
ad : /var/log/wtmp 파일로부터 유저의 로그인 시간을 시간 단위로 출력
last : /var/log/wtmp로부터 모든 유저의 마지막 로그인 시간을 출력. reboot 아규먼트를 사용하면 reboot 한 날짜, 시간을 출력
newgrp : 자신이 소속된 그룹을 새 그룹으로 변경/추가하지만 현재 쉘을 빠져나오면 초기화됨
터미널
tty : 현재 유저의 터미널 출력 -> /dev/ttys000 라고 나옴
stty : 터미널 설정을 출력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
setterm : 터미널의 설정갑을 변경
tset : 터미널 설정을 초기화하고 터미널 타입을 출력
mesg : 다른 유저가 자신의 터미널에 접근하는 것을 제어, mesg y : 자신의 터미널에 쓰기 허용, 기본 설정. mesg n : 자신의 터미널에 쓰기 불허
wall : 접속해 있는 모든 유저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때 사용
write : 유저를 지정해 메시지를 발송할 경우 사용
정보와 통계
uname : 커널 정보와 같은 시스템 정보를 출력해 볼 수 있음
arch : 시스템 아키텍처를 출력. uname -m 명령과 동일
lastlog : /var/log/lastlog 파일을 참고해 모든 유저의 마지막 로그인 시간을 출력
lsof : 오픈된 파일의 목록을 출력. -i 옵션을 사용하면 오픈되어 있는 네트워크 소켓 파일들을 출력할 수 있음
strace : 주어진 명령을 실행할 때 호출하는 시스템 콜과 시그널을 추적하는 명령
ltrace : 주어진 명령을 실행할 때 호출하는 라이브러리 콜을 추적하는 명령
nc : TCP와 UDP 포트 커넥션과 리슨을 출력. 포트 접속을 위해서는 호스트명과 포트 번호를 아규먼트로 사용하면 되고, -z 옵션과 포트 번호 범위를 지정하면 포트로 접속이 가능한 상태인지 체크할 수 있으며, 검색할 포트 범위는 1-80 형식을 사용함
free : 메모리와 캐시 사용량을 Byte 단위로 출력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면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이 나타남.
procinfo : /proc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출력
lsdev : 설치된 디바이스 장치들의 목록을 출력
du : 디스크 파일 사용량을 출력. 재귀적으로 출력하며 특정 디렉터리를 지정 가능.
-h : 킬로바이트 단위로 출력 / -sh : 현재 디렉터리 아래의 전체 용량을 출력
df : 파일시스템의 파티션 사용량을 출력.
-h : M, G 단위로 출력
dmesg : 부팅 시 콘솔에 출력된 메시지들을 출력
stat : 주어진 파일의 각종 정보를 출력
vmstat : 버추얼 메모리 통계 출력
netstat : 현재 네트워크 통계와 정보를 출력. 현재 오픈되어 있는 포트 목록을 출력하고자 한다면 -lptu 옵션을 사용
uptime : 현재 시간과 시스템이 종료/재부팅되지 않고 계속 운영되고 있는 기간, 현재 접속자 수, 평균 부하를 출력. load average가 3 이상이면 시스템 성능이 현저히 떨어짐
hostname : 시스템의 호스트명을 출력
hostid : 호스트 머신을 32비트 16진수 숫자의 식별자로 출력
readelf : elf 바이너리 파일의 정보 출력
size : 바이너리 실행 파일 또는 아카이브 파일의 세그먼트 크기를 출력
시스템 로그
logger : 시스템 로그를 기록하는 명령이며, 로그는 /var/log/messages 시스템 로그 기록 파일에 저장
logrotate : 시스템 로그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며, 로테이트, 압축, 삭제, 이메일 발송 등의 기능을 사용. 일반적으로 cron을 사용해 주기적으로 logratete를 실행해 로그 파일을 관리. 환경 설정 파일로는 /etc/logrotate.conf 파일을 사용
잡 컨트롤
ps :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통계(PID, 프로세스 실행 시간, 실행 유저 등)를 출력. 트리 형식으로 출력하기 위해선 --forest 옵션을 사용
ps -ef 를 자주 사용
pgrep, pkil : 이름 또는 다른 속성을 사용해 시그널 프로세스를 검색
pstree : 프로세스 목록을 트리 형식으로 출력, -p 옵션을 사용하면 프로세스 아이디도 출력
top : 전반적인 시스템 상황을 출력하며 기본값으로 3초마다 refresh
nice : 스케줄링 우선권을 조정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명령
아무런 옵션도 주어지지 않을 경우 nice는 상속받은 현재의 스케줄링 우선권을 출력
조정수치가 생략되면 명령의 nice 값은 10이 됨. 음의 수치까지 부여할 수 있으며 -20 ~ 19까지 조정할 수 있음
renice 명령으로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우선권을 변경할 수 있으며, skill, snice 명령으로 시그널을 보내거나 프로세스 상황을 리포팅 할 수 있음
Ss, S<, Ss+, SN 등으로 표기
nohup : 적은 명령에 대해 Hangup(프로세스 중단) 신호를 무시한 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
nohup.out 파일에 출력 내용을 추가
자동으로 백그라운드로 보내지 않기 때문에 명령행 뒤에 & 문자를 추가해 실행하거나 명시적으로 백그라운드로 실행
실행 파일을 백그라운드로 실행(&) 하고 현재 쉘을 종료해도 실행 파일의 수행이 중단되지 않음
bash 쉘 옵션 중 huponexit은 현재 쉘을 빠져나갈 때 SIGHUP 시그널(정지 신호)을 모든 job에게 보내는 옵션인데, 이 옵션의 기본값은 off라 현재 쉘을 종료하더라도 백그라운드로 실행된 프로세스는 종료되지 않고 계속 실행
nohup python execute.py > output & 등으로 사용
pidof : 실행 중인 프로세스 아이디를 검색, 출력
fuser : 파일 또는 소켓을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출력
cron : 수퍼유저용/일반유저용 스케줄러
/etc/crontab 파일에 설정이 존재하며, 설정별 실행할 파일들은 /etc/cron.hourly 디렉터리에 위치
프로세스 관리와 부팅
init : 모든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PID 1번)이며 부팅 시 /etc/inittab 파일에 런레벨을 결정
service : 시스템 서비스를 시작하고 중지하기 위해 사용
리눅스 시작 스크립트 원본 경로는 /etc/rc.d/init.d 또는 심볼릭 링크된 /etc/init.d이며, 부팅 시 7개의 런레벨별 시작 스크립트 위치는 /etc/rc.d 디렉터리 아래에 런레벨별 디렉터리 명으로 존재
service cron restart 등으로 사용
네트워크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환경을 출력하고 튜닝하는 유틸리티. eth0은 첫 번째 이더넷 카드를 의미하고, lo는 로컬 호스트 루프 백을 의미
ifconfig eht0 down : 네트워크 사용 중지. 시작은 up
iwconfig : 무선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환경을 출력해주는 명령이며, ifconfig와 유사하지만 무선랜 장치만 보여줌
ip : 라우팅, 디바이스, 라우팅과 터널 정책을 출력하고 조작할 때 사용
route : 커널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출력하거나 변경. ip route list와 동일한 내용 출력
chkconfig : 시스템 서비스를 위한 런레벨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검색
tcpdump : 네트워크 패킷을 실시간으로 출력해볼 수 있음. tcpdump tcp port 21 을 실행하면 21번 포트로 통신하는 패킷들을 출력
파일시스템
mount :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하기 위해 사용. 파일 시스템을 가지는 디바이스는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 플로피 디스크, CDROM, USB 같은 외장 디바이스, 램디스크 등이 해당
etc/fstab 파일을 보면 여러 설정 내용을 볼 수 있는데, 이 설정 파일을 부팅 시 자동으로 읽어들여 마운트하고 부팅 후 파일 시스템과 디바이스를 지정하지 않고 수동으로 마운트 하기 위해 사용
/etc/mtab 파일에는 현재 마운트 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 또는 파티션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
mount -o loop -t iso9660 -r cd_image.iso /media/cdimg
umount : 마운트 된 파일 시스템을 즉시 마운트 해제할 때 사용. 언마운트와 동시에 시디롬 드라이브에서 시디롬을 꺼내려면 eject 명령을 사용
sync : 업데이트된 모든 버퍼의 데이터를 강제로 하드 드라이버에 즉시 저장. 버퍼와 하드 드라이버 동기화 수행
losetup : 루프 장치를 정규 파일 또는 블럭 장치와 연결, 루프 장치와 분리, 루프 장치의 상태 파악을 하는 데 사용됨. 루프 장치 인자만 줄 경우에 해당하는 루프 장치의 상태를 보여줌
mkswap, dd : mkswap 명령은 스왑 파일 또는 스왑 파티션을 생성할 때 사용
dd if=/dev/zero of=swapfile bs=1024 count=8192
mkswap swapfile 8192
sync
swapon swapfile
swapon : 파일이나 파티션을 스왑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명령
swapoff : 파일이나 파티션을 스왑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명령
mkfs.ext3 : 파티션이나 파일을 ext3 파일 시스템으로 만들 때 사용, mkfs 명령과 함께 -t 옵션 값으로 ext3를 지정해 파일 시스템을 생성
hdparam : 하드 디스크의 설정을 보여주거나 설정을 조정
fdisk [디바이스명] : 저장용 디바이스의 파티션 테이블을 생성하거나 변경
/dev/hda : 첫 IDE 하드 드라이브
/dev/sda : 첫 SATA, SCSI 하드 드라이브
fsck.ext3 : ext3 파일 시스템을 체크, 수리, 디버그 하는 명령. 단 mount된 파티션에 대해 파일 시스템 체크를 하면 해당 파티션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마운트를 해제한 다음, 파일 시스템 체크를 해야 함!
badblocks : 저장 디바이스의 물리적인 배드 블록을 체크
lsusb : 장착되어 있는 USB 디바이스 목록 출력
lspci : 장착되어 있는 pci 디바이스 목록 출력
mkbootdisk : 시스템 구동을 위한 독립적인 부트 플로피 디스크를 만듦. -iso 옵션을 사용해 부팅이 가능한 iso 파일로 만들 수 있음
mkisofs : iso9660 파일 시스템, 즉 CD 이미지를 만들 수 있음
chroot : root 디렉터리를 변경. 지정한 루트 디렉터리를 사용해 명령과 인터랙티브 쉘을 실행. 보안적 측면에서 유용함
lockfile : procmail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음. lcokfile 명령으로 세마포어 잠금 파일, 디바이스, 리소스 등을 생성해 파일 접근을 관리할 수 있음. 잠금 파일이 존재하면 다른 프로세스의 접근이 제한됨
/var/lock 디렉터리에 잠금 파일을 생성하고 체크하며 rm -f [잠금 파일명] 명령으로 삭제할 수 있음
백업
dump : 정교한 파일 시스템(ext2/ext3) 백업 유틸리티이며, -f 옵션을 사용해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도 백업할 수 있음. dump 명령은 저수준 디스크 파티션을 읽고 바이너리 포맷의 백업 파일을 만듦. 이 파일들은 restore를 사용해 복원
fdformat : 플로피 디스크를 로우레벨 저수준으로 포맷
시스템 리소스
ulimit : 시스템 리소스 사용의 상한 제한 값을 설정. -f 옵션을 사용해 파일 크기 제한, -c 옵션으로 코어 덤프 크기를 제한, -a 옵션을 사용해 현재 시스템의 상한 값을 출력해볼 수 있음
모듈
lsmod : 설치된 커널 모듈 목록을 출력. cat /proc/modules도 동일
출처 : https://zzsza.github.io/development/2017/12/04/linux-1/
'프로그래밍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grep (1) | 2023.03.04 |
---|---|
[리눅스] vi 에서 주석 글씨 잘보이게 (0) | 2023.03.04 |
[리눅스] 검색 find 사용법 (0) | 2023.03.02 |
[리눅스] vi 에서 UTF8 <-> euc-kr 간 전환 외 기타 전환 방법 (0) | 2023.03.02 |
[리눅스] CentOS 한글 설정 (0) | 2023.03.02 |
댓글